본문 바로가기

구입해야할 책

중앙 아시아 사회의 이해


11,700 13,000 


중앙아시아는 1991년까지 우리에게 매우 낯설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이었다. 과거 소련의 통치 하에서 철저히 통제됐으므로 다른 국가들이 이 지역에 접근하기 어려웠고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실용적, 학문적 연구가 저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이 지역이 동서교류의 연결로이자 에너지 자원의 보고였음이 알려짐에 따라 이 지역 국가들이 국제무대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지경학적으로 중앙아시아는 제2의 중동이라 불릴 정도로 풍부한 에너지 및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러시아, 중국, 인도 등의 인접지역에 위치해 있어 전략적 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책에서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 중앙아시아의 등장, 자연환경에서부터 터키인의 종교의식, 카자흐인의 통과의례에 이르기까지 13개의 장으로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면들을 소개하였다. 

----------------------------------------------------------------

제1장 중앙아시아의 등장 
1. 중앙아시아 이해를 위한 접근 방법
2. 유목민과 유목생활
1) 유목민의 개념과 가축
2) 유목민의 이동과 전쟁의 원인
3. 독립국가의 출현과 에너지 자원 

제2장 자연환경 
1. 카자흐스탄 자연환경
1) 지형과 토양
2) 기후 
2. 우즈베키스탄 자연환경
1) 지형과 토양
2) 기후
3. 투르크메니스탄의 자연환경
1) 지형과 토양 
2) 기후
3) 환경문제

제3장 문화 환경의 역사적 배경 
1. 중앙아시아의 위치 
2. 인종적, 문화적, 정치적 발전
3. 소비에트 통치의 유산
4. 정치적 전통
5. 이슬람

제4장 중앙아시아 민족공동체의 형성 
1. 카자흐스탄 민족공동체 형성
1) 돌궐계 부족국가의 출현
2) 카자흐 민족공동체의 형성
3) 카자흐 칸국의 정치구조
2. 우즈베키스탄 민족 공동체의 형성
1) 원시 공동체사회
2) 고대 부족국가 형성과 실크로드 교역의 개시(B.C. 5세기-A.D. 5세기)
3) 중앙아시아의 이슬람화(8c-13c)
4) 우즈벡 민족공동체의 형성
3. 타지키스탄 민족공동체의 형성
1) 고대 국가 형성
2) 페르시아 민족의 이슬람화(8-9c)와 타직 민족공동체의 형성
3) 혼란의 시대(999-1370) : 투르크계 민족의 흥망과 몽골의 침략
4) 티무르 제국(1370-1405)
5) 부하라 칸국(1507-1920)
4. 투르크메니스탄 민족공동체의 형성
1) 투르크멘 민족공동체의 형성 
2) 셀주크 시대
3) 혼란의 시대(1190-1873): 이란과 히바 칸국의 침략

제5장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진출 
1. 러시아의 카자흐스탄 지역 진출
1) 러시아의 진출과 영향력 확대 
2) 러시아인의 식민통치
2. 러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지역 진출
3. 러시아의 타지키스탄 지역 진출
4. 러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 지역 진출

제6장 소비에트 체제하의 중앙아시아 
1. 소비에트 체제와 카자흐스탄
1) 소비에트 체제와 사회주의 카자흐스탄
2) 스탈린의 숙청과 스탈린 이후 시대
2. 소비에트 체제와 우즈베키스탄
1) 10월 혁명과 소비에트 체제의 수립 
2) 소비에트 체제에서의 우즈베키스탄
3. 소비에트 체제와 타지키스탄
1) 10월 혁명과 소비에트 체제의 수립
2) 소비에트 체제에서의 타지키스탄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타지키스탄

제7장 중앙아시아의 여성과 이슬람 
1. 무슬림 여성의 사회적 지위
2. 중앙아시아의 국가별 구분
3. 소련 지배하의 이슬람 
4. 이슬람에서의 혼인과 이혼
5. 우즈베키스탄의 무슬림 여성
1)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여성의 지위
2) 전통적 우즈벡 여성의 결혼
6. 카자흐스탄의 여성
1) 카자흐스탄 여성의 지위
2) 카자흐 여성의 결혼
7. 지역적 특성과 전통에 따른 여성 지위의 변화 

제8장 카자흐스탄 사회와 정치 
1. 사회
1) 인구 
2) 교육
2. 국내정치
1) 카자흐스탄의 독립
2) 독립 이후의 정치 상황
3) 주요 정치문제
3. 중도-보수적 카자흐인1

제9장 우즈베키스탄 사회와 정치 
1. 사회
1) 인구
2) 교육
3) 교육과정
2. 국내정치
1) 우즈베키스탄의 독립
2) 독립 이후의 정치 상황
3. 주요정치문제

제10장 우즈벡인 성향 
1. 타쉬켄트의 우즈벡인 
2. 전통적 우즈벡인 
1) 마할라
2) 마할라 내의 관계
3) 마할라의 종교
4) 마할라의 일상생활
3. 현대적 우즈벡인
4. 페르가나 우즈벡인

제11장 우즈베키스탄의 전통과 변화 
1. 주인공: 자이납(Zaynab)과 아만(Aman)
2. 우즈벡의 시대적 상황과 시인 하미드 알림잔(Hamid Alimjan)
3. 시의 내용과 소비에트의 평가
1) 시의 내용
2) 소비에트의 평가
3) 하미드 알림잔의 작품 활동
4. 시의 주제와 내용 분석

제12장 터키인의 종교의식 
1. 터키인과 이슬람
2. 시대별 종교적 상황
1) 터키인의 고대 종교
2) 오스만제국의 이슬람
3) 터키공화국의 이슬람
3. 종교 축일
1) 칸딜 
2) 라마단(금식월)
3) 쿠르반(희생절)
4. 종교적 풍습
1) 기도생활
2) 할례
5. 도시와 농촌에서의 종교적 성향

제13장 카자흐인들의 통과의례 
1. 출생과 자녀 교육
1) 카자흐인들의 자녀 교육
2) 아이 지키기
3) 말 선물하기(besire)
4) 이름 지어주기
5) 사십일 기념행사
6) 요람에 눕히는 의식(Besik toy)
7) 아이 기어 다니기
8) 걸음마 하기
9) 말하기 의식
10) 말타기 의식
11) 성년을 위한 준비의식
12) 친족과 혈통 배우기 
13) 산파와 유모 
14) 땋아 묶은 머리(변발, 꽁지머리) 
2. 할례 의식
3. 장례 의식
1) 임종과 유언 
2) 초상집
3) 부고
4) 곡 하기
5) 염습
6) 장례 예배
7) 매장
8) 추도
9) 영혼 달래기
10) 1년제